암호 프로토콜

모르는 사람과 통신을 하는 경우가 많다. ⇒ 보안이 굉장히 중요해진다.

기밀성(Confidentiality), 무결성(Integrity), 가용성, 부인 봉쇄 등의 성질을 만족하며 통신을 해야 한다.

Crypto Protocol : Bird’s-eye view

통신 간에 Confidentiality, integrity, non-repudiation, efficiency를 만족해야 함.

Bob이 처음에 준 Kb+는 정말 Bob이 보낸 진짜 공개키일까? ⇒ CA의 도입

Bob이 처음에 준 Kb+는 정말 Bob이 보낸 진짜 공개키일까? ⇒ CA의 도입

CA의 인증은 누가? → 공신력 높은 CA의 공개키는 브라우저 설치 시 이미 저장되어 있다

CA의 인증은 누가? → 공신력 높은 CA의 공개키는 브라우저 설치 시 이미 저장되어 있다

What is network security?

Principles of cryptography

대칭키

공개키